[msv. letter] no.11 msv/미션잇의 2021 임팩트



2021년 숨가쁘게 달려오셨네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지난 8월 30일 첫번째 뉴스레터가 시작한 이후로 열한번째 뉴스레터입니다. 월요일에 발송이 되었어야 하는데,  연말까지 전시를 진행하며 누적된 과로로 발송을 못하였습니다. 너그러운 이해 부탁드립니다. 지난 4개월간 구독자 분들은 350명 정도가 되었어요. 관심을 가지고 응원해주시고 또 꼼꼼히 읽어봐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참 큰 힘이 되고, 앞으로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

최근 들어 한 투자사의 '2021년 임팩트 리포트'를 디자인하면서, 우리회사가 가지고 있는 소셜임팩트란 어떤 것들이 있을지 생각해보게되었습니다. 설립된지 1년 하고도 4개월 정도가 된 기업인 미션잇이 2021년 한해는 어떤 소셜 임팩트를 미쳤을까요? 임팩트의 측정과 관련하여서는 여러가지 방법론이 있고, 최근에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는 등 기업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객관적으로 지표화 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만, 순수하게 저희가 생각하는 변화에 기반하여 몇 가지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Impact 01 세 가지 중요한 사회 이슈를 발굴하였고, 두 권의 매거진을 발행하였습니다



매거진MSV에서는 현대사회의 중요한 사회 이슈를 발굴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특히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약자에게 차별이 없는 디자인을 만들어가는 것이 우리의 중요한 활동입니다. 각 매거진의 서두에 작성한 이 한 문장은 우리의 방향성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 Mobility > 

Inspired by non-universal usability
보편적이지 않은 사용성에서 영감을 받는다


 < Job >

 Inspired by non-universal jobs
보편적이지 않은 직업에서 영감을 받는다 


우리는 기존에 보편적으로 주목하지 않았던 사용자의 이슈를 끌어내어 당사자의 문제해결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대다수에게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컨텐츠를 제작합니다. 책 마케팅을 거의 하지 못하였으나, 인스타그램, 지인 소개를 통해 현재까지 약 500권 정도가 판매되었습니다.


Mobility  - 이동에 제약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 -  2021.7월 발간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초점을 맞추어 장애인 및 국내외 영유아 동반자를 인터뷰하였으며, 이를 고려한 실내외 공간과  제품은 어떻게 디자인되어야 하는지 여러 사례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장애인을 고려한 실내외 공간이 안전 취약계층 (독거 노인, 임산부, 영유아 등) 전체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양손에 물건을 듣고 있거나 캐리어를 끌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Job - 직업의 장벽을 넘어서는 사람들 - 2021.10월 발간

사람에게는 누구나 가능성이 있으나, 장애라는 단어가 네거티브한 요소로 다가와 꿈을 실현하는 것에 장벽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자의 자리에서 꿈을 실현해나가는 국내외 분들을 만나, 포용력있는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는 인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TED 스피커인 전맹 시각장애인 건축가 크리스 다우니와, TED 영상 1000만 뷰를 기록한 뇌성마비 연기자 메이순 자이드와의 인터뷰, 그리고 국내의 다양한 직업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의 인터뷰를 싣었습니다. 또한 장애인을 고려한 포용력있는 업무환경을 만들어가는 해외의 다양한 사례와 장애와 관련된 통계 속에 담긴 국가별 관점의 차이 등 다채로운 내용이 담겼습니다. 


play - 모두가 함께하는 포용력있는 놀이(가제) - 2022년 2월 발간 예정


1989년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후 아동의 놀이권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나, 장애 아동도 함께 놀 수 있는 공간과 이를 위한 사회적인 인식이 아직까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놀이는 아이들의 기본 권리로 장애 유무 등 신체적 능력과 관계 없이 공평하게 제공 되어야 합니다. <Play>호에서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과, 비장애 아이들의 통합적인 놀이, 놀이공간 등 우리 아이들의 놀이권에 대한 평등과, 건강한 놀이를 실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을 모색합니다. 아직 발간되지는 않았으나 10월부터 전시와 다큐멘터리 등을 통하여 이슈를 알리고 있기에 임팩트에 포함하였습니다.



Impact 02  두 번의 Play for All 오프라인 전시를 통해  

포용력 있는 공간 디자인에 대해 제시하였습니다



대중의 인식의 변화뿐 아니라 이상적인 공간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실제적인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Play for ALL 전시 다시보기 (클릭) 아이들과 함께 하는 체험형 전시이기에 주말에만 사람이 몰려서 평일은 한산할 수 밖에 없었으나 1,2회 전시 합계 140여명의 영유아와 가족, 기업 관계자 및 시민 분들이 다녀가셨습니다. 장애를 가진 아이들과 비장애 아이들이 함께 어우러져서 놀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습니다.

전시 디자인의 임팩트

1. 장애 유무를 떠나서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요소를 담아 장애, 비장애 아이들이 구분없이 놀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특히 다양한 높낮이 놀이공간,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촉감 놀이대 등 신체적인 활동의 차이를 염두하여 포용력 있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2. 일회적인 전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번의 이동 전시가 가능하도록 지속가능성을 염두해둔 모듈형 조형으로 만들었습니다. 사진에서 보실 수 있듯이 세운상가 전시와 코트라 전시의 조형과 레이아웃이 다릅니다. 

3. 특수제작된 고강도 종이 파이프를 활용한 친환경적인 조형물입니다.  



Play for All 1st (2021. 12.4 - 12.8) X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 세운상가 세운홀



Play for All 2nd (2021. 12.21 - 12.23) X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 IKP(Invest Korea Plaza)



Impact 3 세 번의 참여형 워크샵 및 강의와 두 번의 온라인 강의를 통해 

인식의 변화를 위한 디딤돌을 놓았습니다


소셜 디자인 워크숍 1차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디자인 아이디어 도출하기 

소셜 디자인 워크숍 2차 :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중교통 개선 방안 찾기

서울시교육청 초중고교원 대상 체험형 강의 : 지속가능성과 포용력 있는 디자인

키뮤 브릿지 KIMU BRIDGE  : 포용력 있는 업무환경을 만들어가는 n가지 방법 

루트임팩트 ROOTIMPACT : 포용력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인사이트





NEXT 2022


2022년2월 중에 MSV 3호인 <Play> 호의 발간을 시작으로 총3권, 많게는 4권까지 발행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에 기반해서 제품, 공간 디자인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뉴스레터도 격주로 꾸준히 발행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월 초중순은 사업계획도 구체적으로 세우고 홈페이지 정리 등 내부적인 업무를 진행할 예정으로 1월달 뉴스레터는 1/17(월) 1/24(월) 두 번 발행됩니다. 너그러운 양해 부탁드립니다. 




MSV를 함께 만들어갈 멤버를 모집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하단의 MSV 커리어를 참조해주세요



뉴스레터 공유하기 및 다시보기 

https://stib.ee/uCT4


서울특별시 서초구 성촌1길 26, 302호
회사명 주식회사 미션잇 대표자 김병수
사업자등록번호 870-88-01764 통신판매업신고 제2021-서울서초-2264호
제안/문의 hello@missionit.co 전화 02-6289-6000
COPYRIGHT ⓒ MISSIO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