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02 Job
직업 다양성과 포용력 있는 업무환경
시각 장애로 인하여 소니피케이션Sonification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나간 천문학자 완다 디아즈Wanda Diaz, 포용력 있는 건축에 대한 통찰력이 생긴 전맹 시각장애인 건축가 크리스 다우니 Chris Downey, 그리고 웹 접근성 전문가가 된 시각장애인 김혜일 님의 사례 등 우리가 직간접적으로 만났던 인터뷰이들에게 장애는 또 다른 가능성의 통로였습니다. 이번 특집호에서는 각 직업 영역의 접근성 이슈와 포용력 있는 디자인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동시에 '사람은 누구나 잠재력이 있고, 가능성이 있다'라는 공감대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SIZE & PAGES | 170X240mm, 158 PAGES
WRITER | MISSIONIT
PUBLISHER | MISSIONIT
PUBLICATION DATE | 2021.10.25
ISSUE | 02.JOB
Special 1:1 Talk 01
크리스 다우니 Chris Downey
시각 장애인을 고려한 포용력 있는 건축과 디자인

건축가이자 컨설턴트인 크리스 다우니는 전 세계에 몇 안되는 시각장애인 건축가입니다. 46년간 앞을 볼 수 있는 사람으로 살다가 2008년 뇌종양 수술 이후 3일 만에 전맹 시각장애인이 된 그는,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도심 속에서 더욱 풍요롭게 살아가는데 기여하는 건축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보훈부(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의 시각 장애인 재활 센터, 뉴욕시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주택 개조, 듀크 대학교 안과 센터, 샌프란시스코의 환승 센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한국 매체와 처음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포용력 있는 디자인, 건축, 도시와 관련하여 풍성한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당시엔 나처럼 완전히 볼 수 없는 건축가가 미국에 없었다. 한 명 찾을 수 있었는데 그 사람은 리스본에 있었다. 시각장애인 건축가가 실제로 어떻게 일하는지, 건축물의 해석에 있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등에 있어 참고할 만한 경험이 전혀 없었다. 아무도 할 수 없는 나만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걸 깨달은 게 그 때였다. 평소 내가 디자인을 하며 가지고 있던 경험과 (시각 장애인으로서) 살아낸 경험을 기존 디자인 스튜디오의 디자인 프로세스로 가져가는 것. 평소 주어진 체크리스트만 완성하면 접근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했다고 생각했던 때와는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이었다."
- 크리스 다우니 인터뷰
Special 1:1 Talk 02
메이순 자이드 Maysoon Zayid
유니콘처럼 빛나는 나의 삶


그가 TED에서 강연한 <제가 가진 99개의 문제점, 뇌성 마비는 그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는 전 세계적으로 1,000만 명 이상의 뷰를 기록하였으며 메이순 자이드는 그 이후 전 세계를 돌며 장애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트 넘치며 재치 있는 입담이 인상 깊은 메이순 자이드와 1:1 인터뷰를 국내 최초로 실었습니다.
TED 강연보기 ㅣ 메이순 자이드 ㅣ 제가 가진 99개의 문제점, 뇌성 마비는 그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위 텍스트를 클릭하면 TED 강연 사이트로 넘어갑니다.


Interviewee
Job 인터뷰이 소개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기 다른 직업의 영역에서 꿈을 실현해 나가고 있는 여덟 명을 만났습니다.
포용력 있는 사회를 위한 다채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Global People
해외 인물 10명의 이야기
다양한 직업 영역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해외 장애인 10명의 이야기를 모았습니다.
Data Inside
2015년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사무국에서는 ‘장애란 복합적이면서 다차원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획일적인 정의를 가지고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국가간에 비교를 하기는 어렵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우리가 인터뷰를 진행한 국내외 모든 연구자들 역시 같은 의견이었죠. 각 나라의 문화, 사회, 경제적인 배경이 다르기에 장애에 대한 관점도 다르고 데이터 수집 방법도 다를 수 밖에 없었습니다. <Job>호에서는 각 나라별 장애에 대한 통계와 정의 등을 비교해봄으로써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와 특징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Contents


MSV 소셜임팩트 시리즈를 읽으면 좋은 독자 안내
• 접근성을 강화하는 제품, 공간, 서비스를 만들기 원하는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
• 포용력 있는 지역사회를 만들기 원하는 공공부문 담당자
• 공공디자인, 도시 계획의 사회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
• 소셜 임팩트를 고려하여 제품을 새로 개발하거나 정보를 얻고자 하는 독자
• 함께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싶은 독자